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미국이 북미지역에서 만들지 않은 전기차는 보조금을주지 않기로 하면서 우리 자동차 업체들이 비상이라는 뉴스 전해드렸습니다. <br> <br>이런 상황에 대해 채널A가 한국을 비롯한 동아태 지역 정책을 총괄하는 미국 국무부 차관보를 단독 인터뷰했습니다.<br> <br>우리 측 우려를 충분히 들었고 미국으로 돌아가 고위층에 즉각 전달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.<br> <br>이다해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 최근 미국에서 시행된 인플레 감축법으로 전기차 보조금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 국산차들은 비상이 걸렸습니다. <br> <br> 바이든 행정부에서 한반도와 동아태 지역 정책을 담당하는 크리튼브링크 미 국무부 차관보에게 해결방안이 있는지 물어봤습니다. <br> <br>[대니얼 크리튼브링크 / 미국 국무부 동아태지역 차관보] <br>(최근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 시행으로 현대 기아차같은 한국 기업이 피해를 입게 됐습니다. 대안이 있을까요?) <br> <br>"충분히 (한국 정부의) 우려를 들었습니다. 그러한 우려를 미국 정부의 고위층에 즉시 전달할 것을 약속합니다." <br><br>크리튼브링크 차관보는 법안 취지가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미국의 의무라면서도 한국과 긴밀히 협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 미국이 주도하는 반도체 공급망 협력체 '칩4'가 중국을 배제한 것이라는 중국 측의 반발에 대해서는 특정 국가를 배제하는 것이 <br>아니라는 입장을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 그러면서도 한국 등 4개국 협의로 시작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><br>우리 정부의 사드 정상화에 대한 중국의 반발에도 쓴소리를 이어갔습니다. <br> <br>[대니얼 크리튼브링크] <br>"그 어떤 나라도 한국이 (사드로) 스스로 방어할 수 있는 능력을 포기하도록 압박하거나 위협하거나 강요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."<br> <br>윤석열 대통령의 '담대한 구상'에 대해서는 강력 지지 의사를 밝혔습니다. <br> <br>[대니얼 크리튼브링크] <br>"북한과 전제조건 없이 대화할 수 있다고 계속 말해왔습니다. 북한이 그 제안에 긍정적으로 반응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." <br> <br>크리튼브링크 차관보는 앞서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과 박진 외교부장관을 만나 현안들을 논의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다해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이기상 박연수 <br>영상편집: 오영롱<br /><br /><br />이다해 기자 cando@ichannela.com